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작은 지식주머니

SOLID 본문

spring

SOLID

작지 2021. 11. 12. 04:01

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좋은 객체 지향의 설게의 5가지 원칙을 정리.

 

SRP : 단일 책임 원칙

  •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.
  • 하나의 책임이라는 것은 모호.
    • 클 수 있고, 작을 수 있음.
    •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.
  • 중요한 기준은 변경이다. 변경이 있을 떄 파급 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른 것
  • EX) UI 변경, 객체의 생성과 사용을 분리

OCP : 개방 - 폐쇠 원칙

  •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?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? 있어야 한다.
  • 다형성을 활용
    • EX) MemberService 클라이언트가 구현 클래스를 직접 선택
    • 구현 객체를 변경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 해야함
    • 분명 다형성을 사용했지만 OCP 원칙을 지킬 수 없음.
  •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새로운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서 새로운 기능을 구현
  • 역할과 구현의 분리를 생각

LSP : 리스코프 치환 원칙

  •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꺠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를 바꿀 수 있어야함.
  • 다형성에서 하위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규약을 지켜야 함.
    • 다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원칙,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를 믿고 사용하려면 이 원칙이 필요
  • 단순히 컴파일에 성공하는 것을 넘어서는 이야기

ISP :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

  •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.
  • 자동차 인터페이스 -> 운전 인터페이스, 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
  • 사용자 클라이언트 -> 운전자 클라이언트, 정비사 클라이언트로 분리
  • 분리하면 정비 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해도 운전자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음.
  •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, 대체 가능성이 높아진다.

DIP : 의존관계 역전 원칙

  • 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, 구체화에 의존해서는 안됨. 의존성 주입은 이 원칙을 따르는 방법 중 하나.
  • 쉽게 이야기해서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말고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라
  • 앞에서 이야기한 역할에 의존해야한다는 것. 객체 세상도 클라이언트가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함
  • 그렇게하여 유연하게 구현체를 변경해야함. 구현체에 의존하게 되면 변경이 어려워짐

 

객체 지향의 핵심은 다형성

다형성 만으로는 쉽게 부품을 갈아 끼우듯이 개발할 수 없다.

다형성 만으로는 구현 객체를 변경할 떄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됨.

다형성 만으로는 OCP, DIP를 지킬 수 없다.

 

 

스프링은 다음 기술로 OCP, DIP를 기능하게 지원

DI (Dependency Injection) : 의존관계, 의존성 주입

DI 컨테이너 제공

클라이언트 코드의 변경 없이 기능을 확장시킴

 

스프링 프레임워크가 OCP, DIP를 쉽게 가능하도록 해줌.

 

모든 설계에 역할과 구현을 분리

Comments